반응형
안녕하세요. 현실세계가 너무 바쁘다 보니 포스트를 장기간 작성하지 못했었는데요. 오랜만에 포스트를 통해 안부를 전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다룰 주제는 '메타버스'입니다. AI가 IT산업의 주요 테마로 자리 잡기 직전까지만 하더라도 메타버스는 IT산업의 주요 테마 중 하나였는데요. 특히나 Covid19으로 촉발된 팬데믹 시기에 가장 각광받던 테마인 메타버스는 어느 순간부터 관심사 밖으로 벗어난 느낌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메타버스는 왜 IT산업의 주요 테마에서 사라져 버린 것인지 그래서 앞으로는 어떨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1. 팬데믹이 불러온 메타버스 바람 '메타버스'라는 개념이 알려지기 훨씬 이전부터 AR, VR 그리고 MR 등 가상현실을 제공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나 서비스들은 ..
'터미네이터', '아이, 로봇', '바이센테니얼맨'이 영화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할리우드 영화이면서 흥행에 성공한 영화입니다. 그리고 바로 사람을 닮은 로봇들이 등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는데요. 이 영화들로부터도 알 수 있지만, 사람들은 예전부터 사람과 같이 이족보행을 하며 스스로 생각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상상해오고 있었습니다. 지금까지도 다양한 형태의 로봇들이 설계되고 실제로 산업현장에서도 활용되고 있지만, 사람의 형태를 지닌 휴머노이드 로봇은 아니었습니다. 4족 보행을 하거나, 팔만 존재하는 산업용 로봇들이 대부분이었으며, 단순히 프로그래밍된 대로 반복적인 움직임과 제한적인 커뮤니케이션만 가능했죠. 하지만 생성형 AI가 등장하면서 마치 사람과 같은 AI가 구현되기 시작했고 '대화'라는 방식으로 커뮤..
'비욘드뮤직', '뮤직카우', '핀고'라는 업체를 들어보셨나요? 투자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이미 들어보셨을 업체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조금은 생소한 이름일 것입니다. 이들은 음원 IP(Intellectual Property)를 대상으로 투자를 진행하거나 중개하는 업체들인데요. 최근에는 토큰증권발행(STO:Security Token Offering) 시장과 결합하여 '조각투자' 방식이 등장하면서 더욱 관심을 받게 된 업체들입니다. 기존 산업과 새로운 기술의 결합이라는 관점에서 관심이 생겨 이것저것 조사해 보았는데요. 관련 내용들을 여러분들께 공유드릴 겸 음원 IP를 대상으로 하는 투자/금융상품들이 어떻게 생겨나게 된 것인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1. 음악 산업의 변화와 음원 IP1) 현대 음악..
중국의 AI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AI 시장 역시도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인공지능 산업이 글로벌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상황인데요. 중국 AI 기술과 시장이 어떻게 급격하게 성장할 수 있었는지, 그리고 향후 전망은 어떤지 이번 포스트를 통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1. 중국 AI 시장의 급성장 글로벌 리서치 업체인 Statista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5년 중국 AI 시장의 규모는 억 5천만 달러 수준일 것이며, 2030년까지 1,548억 달러까지 약 4배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2025 ~ 2030년 연평균성장률은 %) 또한 글로벌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인 미국의 AI시장 규모를 2025년 기준 662억 달러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2025년의 IT트렌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가트너(Gartner)는 매년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를 발표하고 있는데요. 이미 지난 10월에 발표된 내용이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내용을 살펴보고 주요 내용들을 정리하여 공유드리겠습니다.0. 2025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2025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가트너는 10대 트렌드를 선정하며 크게 ① AI의 당면과제와 리스크, ② 새로운 컴퓨팅의 지평, ③ 인간-기계 시너지라는 3가지 주제로 구분했습니다. 주제세부 기술AI의 당면과제와 리스크(AI Imperatives and Risks)1) 에이전틱 AI..
지난 12월 글로벌 회계법인인 어니스트앤영(EY)에서 발행한 "Top 10 opportunities for technology companies in 2025"를 통해서 2025년 IT기업이 포착할 수 있는 10개의 주요 기회를 선정하고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했습니다.` 전략을 수립하는 업무를 수행하면서, 관련 자료들을 수집/분석하는 과정에서 원문의 글을 찾아보게 되었는데요. 시간적인 여유가 있을 때 해당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공유드리고 싶어 포스트를 작성했습니다.※ 본 포스트는 EY의 리포트(원문)를 참고하여 재정리한 내용입니다.0. 서론 2024년은 모든 산업의 전반에서 생성형 AI가 주요 트렌드였습니다. 이러한 시장 및 기술환경 하에서 IT기업들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사업구조의 재편 및 혁신 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