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글로벌 인플레이션, 또 그로 인한 글로벌 금리의 조정,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중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인해 미국의 정책변화가 이루어지고, 글로벌 무역전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인데요. 이러한 글로벌 시장의 변화는 외환, 채권, 주식 등 전반적인 금융시장에 복합적인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2025년의 금융시장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한 글로벌 IB(투자은행, Investment Banl)의 2025년 전망을 금리, 주가, 환율이라는 3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금리 코로나 시기에 세계 각국은 경기 부양 등을 목적으로 현금을 많이 발행했었고, 그 여파로 전 세계적인 ..
'아홉수' 어떤 의미가 떠오르시나요? 뭔가 불운이 닥칠 것만 같아 조심해야 하는 그런 의미가 떠오르시나요? 아마 대부분이 그럴 것입니다. 저 역시도 마찬가지고요. 직장동료들과 식사를 하며 이런저런 주제로 이야기를 하다가, 한 분이 "작년에는 아홉수여서 그런지 정말 쉽게 되는 일이 하나도 없었는데, 해가 바뀌니 잘 정리가 되었다."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다들 '아홉수는 그럴 수 있지'라며 끄덕이긴 했는데, 어느 순간 곰곰이 생각해 보니 정말 아홉수라는 것이 있는지 궁금해져서 내용들을 찾아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예상외로 9라는 숫자가 긍정적인 의미가 더 많은데, 오히려 '아홉수'라는 부정적인 이미지에 사로잡힌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할 수 있었는데요. 여러분들께도 내용을 공유드리고 싶어서 포스트로 정리해..
이번 포스트에서는 2025년의 IT트렌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가트너(Gartner)는 매년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를 발표하고 있는데요. 이미 지난 10월에 발표된 내용이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내용을 살펴보고 주요 내용들을 정리하여 공유드리겠습니다.0. 2025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2025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가트너는 10대 트렌드를 선정하며 크게 ① AI의 당면과제와 리스크, ② 새로운 컴퓨팅의 지평, ③ 인간-기계 시너지라는 3가지 주제로 구분했습니다. 주제세부 기술AI의 당면과제와 리스크(AI Imperatives and Risks)1) 에이전틱 AI..
지난 12월 글로벌 회계법인인 어니스트앤영(EY)에서 발행한 "Top 10 opportunities for technology companies in 2025"를 통해서 2025년 IT기업이 포착할 수 있는 10개의 주요 기회를 선정하고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했습니다.` 전략을 수립하는 업무를 수행하면서, 관련 자료들을 수집/분석하는 과정에서 원문의 글을 찾아보게 되었는데요. 시간적인 여유가 있을 때 해당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공유드리고 싶어 포스트를 작성했습니다.※ 본 포스트는 EY의 리포트(원문)를 참고하여 재정리한 내용입니다.0. 서론 2024년은 모든 산업의 전반에서 생성형 AI가 주요 트렌드였습니다. 이러한 시장 및 기술환경 하에서 IT기업들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사업구조의 재편 및 혁신 추..
2020년도를 전후로 하여 IT기술의 활용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적인 요인중 하나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결과, DX(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열품이 불게 되었고 많은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투자와 개선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성형 AI가 등장한 이후 AI가 주요한 테마가 되면서 AI-Driven-Transformation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보입니다. 이러한 경향은 업종을 가리지 않고 공통적으로 보이는 트렌드라고 생각하는데요. 눈에 띄는 몇 가지 업종(금융, 뷰티, 철강, 화학, 조선, 건설)에 대해서, 생성형 AI를 포함한 IT기술의 활용사례를 조사해 보았습니다. 업종별 AI 활용 트렌드, 또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트렌드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아래 본문을 통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1..
컴퓨터, 스마트폰, 인터넷 등 IT가 없는 생활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일상에 녹아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로 인하여 모든 것들이 빠르고 간편해졌으며, 다양한 문화/취미/여가 생활도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것은 양면적인 것처럼, IT로 인한 어두운 면 역시 존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해킹이나 스미싱과 같은 사이버 위협입니다.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는 보안 기술들도 같이 성장하고 있지만, 국가의 지원을 받는 해킹 그룹의 활동 증가, 생성형 인공지능의 악용 증가 등 최근 발생하는 사이버 위협은 더욱 지능화, 고도화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나 피해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복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만큼, 사전에 대비하여 피해를 입지 않도록 준비를 해야 하는데요. 이러한 이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