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보고 방법론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방법론이라는 용어가 적절하게 받아들여질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보고 업무를 지시받는 순간부터 보고를 완료하는 시점까지의 각 단계별로 고민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해 보는 것을 목표로 글을 작성했습니다. 기존의 글에서 언급된 내용들도 있고, 앞으로 좀 더 자세하게 말씀드릴만한 주제들도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간략하게 전체적인 개요를 설명드린다고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0. 보고의 업무절차 상사에게 업무지시를 받았거나 진행하고 있던 업무에서 보고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을 때, 보고를 진행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프로세스로 표현을 해본다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① 무엇을 목표로 보고할지를 먼저 생각하고, ② 생각나는 아이디어들과 가설들..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생성형 AI(Generative AI)를 활용해서 보고서를 작성해 본 내용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이미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ChatGPT, Bard와 같은 생성형 AI가 활용되고 있고, 과연 보고서를 작성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까 하는 궁금함에 한번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1. 생성형 AI 정하기 이번 글을 작성하면서 활용했던 생성형 AI는 ChatGPT와 뤼튼(wrtn)입니다. ChatGPT는 제가 블로그에서 많이 언급하기도 했고, 전 세계적으로도 센세이셔널 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모르시는 분은 없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뤼튼(wrtn)은 모르시는 분도 계실 것 같은데요. 한마디로 쉽게 설명하자면, 한국어에 최적화된 생성형 AI라고 할 수 있습니다. GPT뿐만 아니라 네이버의 ..
보고서 작성법 9번째 노하우에서는 '보고 전략 세우기'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제목이 매우 거창하기는 하지만, 적절한 표현이 없다 보니 강조의 의미를 담아서 전략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보고 과정에 있어서도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을 적절하게 글로 설명하기가 애매한 부분이 있어서 어떻게 써야 할지 고민을 하면서 작성했는데, 쉽게 이해하실 수 있으실지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나름대로 고민해서 작성한 만큼 보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보고 전략이란? 일반적으로 전략이란, 전쟁에서의 승리를 위해 여러 전투를 계획·조직·수행하는 방책으로 군사적 용어로 사용되어 왔으나 오늘날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활용되는 분야나 사람에 따라서 너무..
보고서 구조화라는 용어를 들어보셨나요? 보고서 작성과 관련한 글들이나 노하우들을 보면 "구조적인 보고서", "보고서의 구조화" 등 구조화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보고서의 구조'라는 주제로, 보고서를 작성할 때 전체적인 구조를 어떻게 잡아야 하고 이야기들을 연결시켜야 하는지에 대해서 말씀을 드려볼까 합니다. 1. 보고서 구조화의 목적 구조화라고 하는 것은 각각의 개별 요소들을 상호 관련된 요인들로 묶고 조직화하거나 체계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구조화를 하는 이유는 새로운 지식이나 개념을 습득할 때 이해를 돕기 위해서입니다. 메인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된 소주제들이나 내용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시각적으로 표현하게 되면 전체적인 맥락에서 이해가 쉬울 뿐만 아니라 ..
이번 포스트에서는 보고서의 리딩메시지 또는 거버닝 메시지라고 부르는 핵심 메시지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앞선 글들에서 보고서를 작성하는 이유와 큰 틀에서의 작성방법을 이야기했었고, 또 보고서 유형에 따라 어떤 스토리 라인을 기본으로 접근해야 할지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앞의 내용들에 이어서 보고서의 스토리라인을 따라가면서 주장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리딩메시지(거버닝메시지)는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겠습니다.1. 리딩메시지(Leading Message)란? 일반적으로 보고서를 작성할 시(특히 ppt인 경우) 각 페이지의 상단 부분에 해당 페이지에서 말하고자 하는 핵심을 요약하여 전달하는 메시지를 말하는 것으로 거버닝 메시지(Governing..
보고서 작성법 6번째 글에서는실무에서 쓰이는 주간 업무보고 작성법에 대해서이야기하려고 합니다.지난 글에서 보고서 유형별로실무에서 쓰이는 스토리 라인에 대해 이야기했고보고서의 유형으로정기 보고서와 비정기 보고서를 구분했었습니다.2023.05.27 - [업무 Know-How] - 보고서 작성법 5번째 노하우 - 실무에서 쓰이는 스토리 라인그렇다면 정기 보고서 중에서가장 많은 빈도를 가진 주간 업무보고는왜 작성해야 하며,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요?0. 주간 업무보고란? 이 글을 검색해서 방문하신 분들이라면 이미 주간 업무보고에 시달리고 계신 직장인이시겠지요? 많은 기업들은 여러 가지 목적으로 주간 업무보고, 주간 일지 등의 이름으로 주 단위 업무보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일 단위, 또..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