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광풍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 메타버스의 현재와 미래

 안녕하세요. 현실세계가 너무 바쁘다 보니 포스트를 장기간 작성하지 못했었는데요. 오랜만에 포스트를 통해 안부를 전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다룰 주제는 '메타버스'입니다. AI가 IT산업의 주요 테마로 자리 잡기 직전까지만 하더라도 메타버스는 IT산업의 주요 테마 중 하나였는데요. 특히나 Covid19으로 촉발된 팬데믹 시기에 가장 각광받던 테마인 메타버스는 어느 순간부터 관심사 밖으로 벗어난 느낌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메타버스는 왜 IT산업의 주요 테마에서 사라져 버린 것인지 그래서 앞으로는 어떨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메타버스 광풍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 메타버스의 현재와 미래
메타버스 광풍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 메타버스의 현재와 미래


1. 팬데믹이 불러온 메타버스 바람

 '메타버스'라는 개념이 알려지기 훨씬 이전부터 AR, VR 그리고 MR 등 가상현실을 제공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나 서비스들은 이미 많이 등장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메타버스'라는 개념이 널리 퍼지고 하나의 메가 트렌드로 자리 잡게 된 데에는 팬데믹이 결정적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강력한 전염성을 가졌던 Covid19은 순식간에 전 세계로 퍼져나가게 되었고, Covid19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하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사람을 만나거나 외출하는 것을 꺼려했습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증상이 발현한 사람들은 격리조치를 하면서 전염병을 막고자 했었죠.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직장생활이나 학업 등과 같은 일을 이어나갈 필요가 있었기에 원격근무, 이러닝과 같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또한 팬데믹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업무/학업 외 다양한 문화생활까지도 비대면으로 즐길 수 있기를 원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서 메타버스가 각광받게 되었는데요. 현실세계가 아닌 가상세계에 환경을 구성하여, 경험을 제공하고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가상 PC(Virtual Desktop)가 아니라 가상 오피스(Metaverse Office), 이러닝 플랫폼(e-Learning Platform)을 넘어서는 가상 캠퍼스(Metarverse Campus), 메타버스 콘서트 및 스포츠 중계 등 다양한 콘텐츠들을 가상환경에서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메타버스는 준비된 기술과 사회적인 환경, 그리고 소비자들의 수요가 겹치면서 단숨에 IT 메가 트렌드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또한 구글 MS, 애플 등 많은 빅테크 기업들이 메타버스와 관련된 비전과 상품들을 시장에 선보였으며, 심지어 페이스북은 사명을 'META'로 변경하고 기업의 비전을 메타버스라고 선포하기까지 했습니다.

 이러한 모습들은 IT시장에 굉장히 상징적인 신호가 되었고, 사람들로 하여금 메타버스는 단순한 트렌드에 그치지 않고 넥스트 패러다임이라는 확신을 주게 되었습니다.


2. 한계를 드러낸 메타버스 광풍

 엔데믹을 맞이하고 팬데믹 이전의 일상을 회복한 시점부터 메타버스 테마는 크게 꺾이고 말았습니다. 생성형 AI라는 메가 트렌드가 IT산업의 모든 관심사를 집어삼킨 영향도 있지만, 메타버스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크고 작은 문제점들로 인해 테마가 사라지게 된 것인데요. 몇 가지 주요한 이유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 사용자의 기대보다 낮은 경험 제공

 메타버스라는 용어가 나오기 훨씬 이전부터 사람들은 가상현실, 혼합현실과 같은 세상을 상상해 왔습니다. 또한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을 통해 상상을 시각화해서 보여주기도 했었고요.

 게다가, 이미 VR, AR 등이 상용화되어 활용되고 있었던 만큼, 좀 더 진보적인 개념인 메타버스에 대해 사람들은 많은 기대를 가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제공되는 서비스나 이를 통해 경험할 수 있는 콘텐츠의 수준이 기대보다 낮은 수준이었던 것입니다.

 우선, 몰입감을 높여주어야 할 그래픽 품질이나 반응속도 등이 사용자들의 기대치를 크게 밑돌았고, 이러한 문제로 멀미를 느끼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사용자 경험이 크게 훼손되고는 했습니다. 심지어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 필요한 디바이스들의 가격이 높은 편일 뿐만 아니라, 낮은 배터리 용량, 무거운 무게 등과 같이 사용성 측면에서도 불편한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메타버스를 통해 즐겨야 하는 콘텐츠들의 질이나 양도 문제였습니다. 메타버스 열풍이 불면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많은 기업들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하기 시작했습니다. 국내에서도 SKT, KT, LGU+ 등 통신 3사를 비롯하여 다양한 금융사들이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하여 운영하기도 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 역시도 지자체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메타버스 플랫폼들은 현재 운영을 하지 않거나 유령도시화 되어있는 상태인데요. 많은 플랫폼들이 단순하고 단기간만 즐길 수 있는 콘텐츠만을 제공했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아바타를 꾸미거나, 단순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수준의 서비스만 제공되었고, 사용자들을 지속적으로 잡아 둘 수 있는 킬러 콘텐츠가 부족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취약한 비즈니스 모델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들은 오픈 초기부터 사용자 확보에 열을 올리고는 했습니다. 대다수의 플랫폼들처럼 일단 규모를 키운 이후 수익화를 고민하는 전략을 취했던 것으로 보였는데요. 하지만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내지는 못했습니다.

 많은 메타버스 플랫폼들은 플랫폼 내의 '가상 자산'을 상품화하여 판매하는(마치 인게임 결제와 같은) 비즈니스 모델을 설정했습니다. 단순하게는 가상세계의 아바타를 꾸미는 아이템부터 시작해서 디지털 부동산, 더 나아가서는 NFT와 토큰 등 가상 자산과 연계된 상품들까지도 판매했었습니다.

 특히나 '디지털 부동산' 또는 '토큰' 등은 NFT 시장의 붐과 함께 큰 관심을 모으기도 했었지만, 급격한 등락의 반복 및 실제 가치에 대한 의문 등이 겹치면서 투기 상품으로 전락하고 말았고 신뢰를 잃게 되었습니다.

 또 다른 비즈니스 모델로는 광고 수익이 있는데요. 가상 환경에서는 광고의 효과가 낮은 편이었고, 광고로 인해 사용자 경험이 저하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주력 비즈니스 모델로 운영하기에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결국 메타버스 플랫폼들은 어려운 접근성, 취약한 콘텐츠 등으로 많은 사용자들을 유입시키지 못했고, 지속적인 수익모델을 구체화시키지 못했습니다. 심지어 인프라 운영에 많은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됨으로써, 운영할수록 적자가 발생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많은 기업과 투자자들이 떠나게 되었습니다.


3. 메타버스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앞서 메타버스 트렌드가 사라졌다는 표현을 사용하긴 했지만, 이는 일부만 맞을 수도 있습니다. 대중들이 체감하는 트렌드로서의 메타버스는 사그라든 것이 맞지만, B2B 시장에서는 여전히 수요가 있는 편입니다.

 대표적인 업종은 교육과 제조라고 할 수 있는데요. 군사 훈련, 소방/안전/의료 교육 등 실제와 가까운 환경에서의 훈련이 필요하지만 제약사항이 있는 분야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또한 제조 분야에서도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메타버스 환경에서 수행하면서, 투자나 설비에 대한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식을 도입하는 추세입니다.

 이처럼 B2B 시장에서는 유의미한 수요와 사례들이 꾸준히 생기는 만큼, 메타버스 트렌드는 기술 성숙으로 가는 조정 단계라고 판단할 수 있는데요. 가트너에서 이야기하는 하이퍼 사이클을 생각해 보면, 팬데믹 시기에 메타버스 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뜨거워짐에 따라 거품이 끼게 되었고, 지금은 그 거품이 사라지며 조정을 거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생성형 AI 기술이나 반도체, XR 기기들과 같은 HW의 발전에 힘입어 이와 융합된 새로운 서비스들이 태동하고 있는 만큼 대중들에게 다시 한번 메타버스가 가깝게 다가올 시기가 머지않았다고 예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메타버스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았는데요. 일반 사용자가 상상하는 메타버스의 세상은 아직은 시간이 필요해 보이지만, 그래도 산업환경에서 실용적인 '디지털 트윈'과 같은 콘셉트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기술과 산업의 발전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몇 년후에는 또 다른 용어로 비슷한 개념의 트렌드가 등장할 것이라고 예상되는데요. 과연 그 시기가 언제쯤 일지 또 어떤 모습일지 기대하며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